본문 바로가기
건강/마음건강

애착은 마음의 접착제일까? — 뇌과학이 밝히는 애착의 비밀

by eire-ne 님의 블로그 2025. 6. 19.
728x90
반응형
“그 사람만 곁에 있으면 마음이 편해져요.”

이 짧은 말은 우리가 누군가와 ‘애착’을 맺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흔히 애착은 아기와 엄마 사이에만 존재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애착은 평생 우리 삶을 조율하는 ‘감정 내비게이션’과도 같습니다. 그리고 이제 과학은 이 애착이 ‘’와 얼마나 깊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말해주기 시작했습니다.


애착, 정서의 GPS
애착(attachment)은 감정적으로 중요한 사람과 맺는 안정적인 정서적 유대를 말합니다. 영국 정신분석가 존 볼비(John Bowlby)는 애착이 생존 본능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현대 뇌과학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애착이 뇌 발달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며, 이후의 사회성, 공감 능력, 정서 조절력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아이의 뇌는 ‘애착’을 먹고 자란다
하버드 의대의 정신과 의사이자 뇌발달 전문가인 샤론 하퍼 박사의 연구(2021)는 양육자와의 안정된 애착이 아기의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과 편도체(amygdala)의 연결을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전전두엽은 판단력과 충동 조절을 담당하고, 편도체는 공포와 불안 같은 감정을 처리하는 뇌 부위입니다.
즉, 사랑받고 안정된 유대를 경험한 아이일수록 감정 조절력이 뛰어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도 높습니다. 반대로 불안정 애착은 뇌 내 스트레스 회로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며, 우울, 불안, 충동 조절 장애 등 정신건강 문제의 위험 요인이 됩니다.


어른도 예외는 아니다: 관계 중독과 애착 회로
최근 뇌영상 연구에 따르면(2022, UCLA), 성인에게도 애착은 뇌의 보상 회로—도파민이 분비되는 ‘쾌감 중추’—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습니다. 연인이나 친구와의 긍정적인 교감은 중뇌의 복측피개영역(VTA)과 측좌핵(nucleus accumbens)을 활성화시키며, 이는 마치 초콜릿을 먹거나 음악을 들을 때처럼 즐거움을 줍니다.
흥미로운 점은, 애착 상실이나 거절 경험이 이 회로에 ‘금단 반응’처럼 작용한다는 점입니다. 관계에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반복적으로 불안한 연애를 하는 사람들은 애착 회로의 과민 반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유 가능한 회로, 바뀌는 애착
다행히 뇌는 유연합니다.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덕분에 애착 회로도 경험을 통해 바뀔 수 있습니다. 안전한 관계, 심리치료, 마음챙김 명상, 그리고 안정적인 공동체의 지지는 뇌에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냅니다.
실제로 애착 기반 치료(Attachment-Based Therapy)는 PTSD, BPD(경계선 인격장애), 중독 문제 등 다양한 심리 증상에 효과가 있음이 임상적으로 검증되고 있습니다. 2023년 발표된 논문에서는 정서적 결핍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16주 애착 중심 치료에서 전전두엽의 활성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Barth et al., 2023).


우리는 모두 애착의 흔적 속에 살아간다
당신이 쉽게 사람을 믿지 못하거나, 누군가 곁을 떠나면 세상이 무너지는 기분이 든다면—그건 당신이 약해서가 아니라, 당신의 뇌가 과거의 애착 경험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건, 그 회로는 ‘지금 이 순간의 관계’로도 다시 조율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애착은 단지 사랑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뇌가 관계를 통해 어떻게 회복하고 성장하는지를 보여주는 놀라운 이야기입니다.


📚 참고문헌

  • Harper, S. et al. (2021). Attachment and prefrontal-limbic connectivity in infancy. Harvard Medical School.
  • Barth, A. et al. (2023). Attachment-Based Therapy and neural changes in adults with relational trauma. Journal of Affective Neuroscience.
  • Coan, J. A., & Sbarra, D. A. (2022). The neurobiology of social connec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 Lieberman, M. D. (2021). Social: Why Our Brains Are Wired to Connect. Crown Publishing.
728x90
반응형